개인적으로 역사에 관심이 많은 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이번엔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함 풀어볼까 합니다.
한국 역사 교육의 문제점이라, 뭐가 있을까요? 의무과목이 아니라 선택과목이다? 국영수에 비해 별로 중요하지 않다? 글쎄요.. 그건 정작 제가 이야기하려는 문제가 아니고, 사실 잘 생각해보면 선택과목이어도 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조금 뒤에 이야기 해볼게요.
한국 역사교육의 문제점은 이겁니다.
한국의 역사과목은 굉장히 단순하다는거죠. 예컨데, 그저 언제 무엇이 일어났느냐, 어떤 시대, 어떤 왕때 어떤 정책이 시행되었느냐. 조선왕의 순서, 대한민국 대통령 순서 외우기... 결국엔 그저그런 텍스트 외우기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이런 텍스트 외우기는 역사가 아니라 연대기에 불과하죠.
문제는 과연 이런 텍스트 외우기가 역사적 사고력에 도움이 되느냐는 겁니다. 제가 느끼기에 이런 책만 뒤져보면 쉽게 찾을수 있는 언제 어떤 사건이 일어났느냐는 별로 중요한건 아니거든요. 기억 안나면 텍스트 찾아보면 답이 나온다. 뭐가 중요합니까?
역사를 공부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의 어떤 특정한 팩트를 둘러싼 그 맥락, 의미와 제반 상호관계 등 입체적으로 그것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해석과 평가를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즉,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는거죠.
국사 공부를 시켜서 시험을 보면, 그래서 낸 문제라는게 어떤 사건이 몇년도에 일어났느냐, 언제 무슨 정책이 시행되었느냐.. 따위의 잡스러운 팩트를 맞추라고 하지요. 그런건 생각 안나면 그냥 텍스트 찾아보면 그만 이고, 그러한 팩트는 이런 상호관계와 의미 등을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레 외워지게 됩니다.
딱딱 끊어진 무미건조한 정보가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하나의 스토리가 있는 이야기가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
잘 이해가 안된다면 이런 예를 하나 들어봅시다. 금속활자라는 예를 들어보죠.
금속활자로 유명한건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와 우리 조상님들이 만든 금속활자가 있죠. 물론 세계최초의 금속활자가 우리나라, 고려때 만들어졌다는건 초등학생도 알만한 사실일 겁니다. 그런데 역사에서 더 중요하게 다뤄지는 쪽은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이죠.
왜일까요? 서구우월주의? 아닙니다.
그 이유는,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유럽세계를 뒤바꾼 커다란 원인 중 하나가 되었고, 고려의 금속활자는 그냥 최초로 만들어졌을 뿐이기 때문입니다.
설명해보겠습니다.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고려의 금속활자보다 쓰기에 더욱 편리했고 실용성이 뛰어났습니다. 그리고 그런 실용성을 바탕으로 단 50년만에 유럽 전역에 1500~2000만권의 책을 생산했습니다. 그 이전까지는 수백년 동안 생상된 책의 총량은 겨유 10만권 안팍으로 추산될 뿐인데 말이죠. 그것도 무슨 책을 인쇄했느냐하면 '성경'입니다. 당시 성서를 만들던 시절엔 66권에 달하는 방대한 내용 때문에 성경 한 질(여러 권으로 된 책의 한 벌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값이 집 열 채 값에 해당했기 때문에 성서를 가질 수 있을만한 재력을 가진 자들은 부유한 귀족이나 수도원 밖에 없었고, 심지어 손으로 일일이 배껴서 만드는 필사의 특성상 어느 정도의 오타가 생겼고 이런 오타로 인한 오류를 바로잡고 정론을 제대로 가르칠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기독교가 곧 진리이고 질서인 세상이었던 만큼 이런 독점은 교회가 교리를 자기네들에게 유리하게 해석하고 체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을 바탕으로 널리퍼진 이러한 '성경'은 일반 민중 또한 싼 값에 쉽게 구할수 있었고, 성경을 읽어본 일반 민중들이 보기에 성직자라는 인간들이 하는 행동이 성경에 적힌 내용과 전혀 달랐고, 따라서 기존의 교리해석에 반박하고 체제를 비판하는데 용이한 환경을 만들어줬습니다.
이런 변화와 반박은 종교개혁이 일어나는데 큰 바탕을 하게 되었는데, 마르틴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부르크 성당문에 걸어 당시 성행했던 면죄부의 발행을 비판했을때 이런 반박문이 독일 전역으로 퍼지는데 일조하게 됩니다. 이후로도 기존의 성직자, 교회를 비판하는 연설문이나 논문 등이 인쇄되었고 또한 유럽 전역 퍼져갔습니다. 일반 민중들은 기존 교회의 작태에 불만이 팽배해있었는데 이런 정보를 알게되는 것은 기존 교회와 교황파에 있어서 큰 타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갈등 속에서 '프로테스탄트'가 탄생합니다. 기존 교회에 반발해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들인데, 이를 신교하고 하고 기존의 교황파를 구교라고 합니다. 후에 이들 프로테스탄트와 교황파는 종교전쟁을 벌이기 까지하는데, 이런 종교개혁이 일어나는 환경을 만들어준 것은 다름 아닌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가 큰 역할을 담당했죠.
물론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때문에 세상이 바뀌었다는 확대해석이고, 그만큼 큰 원인이었다 정도랄까요.
....
이런 유럽의 금속활자와는 다르게 동양의 금속활자는 상황이 달랐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동아시아에서 사용하는 문자가 한자라는 점이죠, 수만자나 되는 글자들을 금속활자로 만들기에는 돈도, 시간도 너무 오래 걸립니다. 알파벳의 경우 수십개를 넘지 않는 것에 비해 불리하죠. 또한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구텐베르크라는 민간인이 발명했지만, 고려의 경우 국가 주도하에 개발되었고 따라서 책의 생산은 엄격하게 국가의 관리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한자라는 특성한 일반 민중이 배우기는 어려웠고, 실질적으로 문자를 읽고 쓰는, 사용할수 있는 계층은 귀족등 지배층들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기술적으로도 고려의 금속활자는 모래거푸집이나 밀랍으로 만든 주조집에 구리합금을 부어서 만들었는데 주로 밀랍을 많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문제는 밀랍 거푸집은 재료가 재료인지라 열과 압력에 취약하며 한 번 사용하면 못쓰는 일회용이었죠. 심지어 주조한 것도 높이가 맞지 않고 글자의 모양이나 크기, 형태가 제각각이어서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에 반해 구텐베르크의 것은 주폐국에서 일했던 경력을 살려 금화나 은화의 초상화를 찍어내는 펀치에 글자를 거꾸로 새겨 철판에다 찍어 형틀을 만들고 그 위에다 철로 만든 주조기를 덧씌워 납, 주석등의 합금을 부어 주조하는 방식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철로 만든 형틀 및 주조기를 쓴 덕에 수천번을 주조해도 모양과 크기가 일정했으며, 형틀이 만가졌더라고 펀치만 있으면 언제든 형틀을 제작할수 있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면에서 매우 경제적이었죠.
....
에.. 그러니까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가 더 중요한 이유는,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일조했고, 고려의 것은 그러지 못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는 점입니다. 역사적 해석과 제반 상호관계가 중요하다고 했죠? 단순히 고려의 것이 더 먼저나왔다는 구텐베르크의 것에 비해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물론 세계최초라는 점과 이런 금속활자를 중국과 일본에 수출했다는 점 등 별거아니네~ 하고 무시할게 아니라 고대 그리스의 증기기관처럼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물건이라도 그 시점의 사회를 잘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교훈을 가지는 쪽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시 고려는 사회적으로 발전이 없었거든요.. 위와 같은 단점이 있었더라도 꾸준한 계량을 했다면 좋은 결과를 도출해 냈을지도 모른다는.. IF해봅니다..)
....
어째 하려는 이야기에서 너무 멀어진 감이 있는데, 그러니까 중요한건 텍스트 찾아보면 다 나오는 팩트 따위가 아니라 이런 역사적 맥락과 그에 대한 해석, 제반 상호관계를 가르쳐야 한다는 겁니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는게 역사입니다. 그런 역사에서 중요한건 '무슨 일이 일어났다'가 아니라 '무슨 일이, 어떤 원인을 통해, 어떻게 일어났느냐'입니다.
한국의 역사교육은 그런 면에서 역사적 사고력을 길러주지도 못하고, 따라서 국사 교과가 이러한 역사적 사고력을 길러주지 못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면 일반 사회교과와 비교해 크게 나은 점, 중요한 점을 강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전과 같은 서울대 국사 의무화 폐지같은 경우에도, 그에 반박하는.. 남아있어야하는 이유를 설명할수가 없는거죠.
아, 뭐 국사를 논술식으로 하자도 나름 달콤한 이야기일수도 있겠지만 그럼 체점하는 사람이 죽어나가겠죠...-ㅁ-a;;;;;
'취미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핵무장이라는 국가적 찌질함의 말로에 대한 단상.. (2) | 2013.02.26 |
---|---|
내부 고발자를 사랑합시다. (4) | 2013.02.20 |
한국인이 영어 스피킹을 못하는 이유 (8) | 2013.02.10 |
우리는 말하는 영어가 아니라 읽고 해석하는 영어를 공부하는 것이다. (0) | 2013.02.10 |
찌질한 부모 밑에서 찌질한 자식 태어난다. (4) | 201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