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3

헬죠센론. 사회학적 상상력과 탈정치화. 미국의 비판사회학자인 밀스가 저술한 '사회학적 상상력'에 따르면, 개인이 자신의 인생 경험의 한계를 뛰어넘어 사회 전체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사회학적 상상력이란 곧 인간과 사회, 개인의 일생과 사회 역사, 자아와 세계의 상관관계에 한계를 두지 않고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죠. 50년대 미국에선 너무나 비대해진 사회체계 안에서 개인이 어찌할 수 없는 문제에 부딪혔을 때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도 못하며 절망하게 되어버리며, 자신이 사회 안에서 어떤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지조차 몰라 불안해하는 현상이 감지되고 있었습니다. 옛날의 농부는 자신이 소유한 논, 밭에서 일어나는 일만 알고 관리만 잘 하면 살아가는 데 별 문제가 없었지만 현대사회는 너무나 복잡하고 다.. 2016. 1. 25.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인문학의 발전이 꼭 풍요롭고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모든 역사상의 풍요롭고 행복했던 나라들은 단 하나의 예외도 없이 가장 융성한 인문학을 꽃피운 나라들이었다." 인문학은 인간의 조건, 즉 인간다움의 특징, 인간의 삶과 사고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또한 진리를 탐구하는 영역이기도 하지요.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과 인간 사회를 진일보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이 스스로를 앎으로써 진리의 탐구에서 똑바로 나아갈 수 있죠. 개개인의 차원에서도 역사나 철학과 같은 인문학을 공부하는 것은 뛰어난 통찰력을 가져다 주기도 하는데, 그러한 통찰력을 앞서 말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간이 만들고 구축하며 세상을 구성하는 모든 것을 뚫어볼 수 있게.. 2014. 10. 11.
국가적 번역 기관의 필요성 사실 국가적 번역 기관이 필요하기에 앞서 전제되야할 조건은 인문학에 대한 인식 개선이 맞을 겁니다. 한국은 인문학의 지옥이라고 보며 철학이나 역사학보다는 더 쓸모있는 기술이나 경영학과 같은 실제로 어딘가 써먹을 수 있는 것들을 더 중시하고 그렇지 못한 학문은 아예 신경도 안 쓰고 관심도 없으며 더욱이 지원 조차 없는 것이 현실이니까요. 어찌됬든 국가적 번역 기관이 필요하다는 이유는 한국의 지적 환경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입니다. 이전 글들에서도 몇번 주장했다시피 학문적 정보는 물론 일반 교양도서에까지 그 양적인 환경이 열악합니다. 세계의 거의 모든 정보는 영어로 기록되기 마련인데,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가는 세상에서 이러한 정보에 발 맞춰 걷지 못한다면 그것은 도태된다는 의미이죠. 교양도서가 되었든 전문서적.. 2013.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