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19

잘못된 지식을 전달하는 책.. 책은 지식을 쌓는데 최고의 도구이자 온갖 정보를 담는 그릇입니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정보의 바다라곤하지만, 정작 전문지식같은 것들은 수박 겉핥기 수준으로 올라와있고, 인터넷을 통해 지식을 쌓는 것은 왠만큼의 노력과 운이 아니라면 넓지만 얕은 수준으로 밖에 얻지 못할 것입니다. 책은 그 두께 만큼이나 그 주제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담겨있기 때문에 아직까진 전문지식이나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해선 책을 봐야하는 것이 사실이죠. 가령 고구려에 대한 정보도 인터넷 게시글 한두개보다는 100페이지 안팍이라도 책이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니까요. 지식과 정보의 상징이 되어버린 책이지만, 정작 멍청이들이 쓴 책도 있다는 것도 참 재밌는 일일지, 애석한 일일지 모르겠습니다. 가령 역사에 관한 책들이나 자기계발서적이 그러.. 2013. 8. 31.
역사란 무엇이며, 어째서 중요한가. 역사는 자기인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뿌리는 무엇이며, 자신은 누구인가. 간단해 보이는 문장이고 단순해보이기 때문에 쉽게 와닿지 않겠지만, 이 문장이 단순히 있어보이기 위해 만들어진 문장이 아니라는 것을 역사를 공부하며 깨닳았습니다. 자신의 뿌리는 무엇인가. 즉, 나라는 존재를 이루는 수많은 문화적, 민족적 가치관과 그것을 공유하는 수많은 이들이 이루어져있는 사회-국가는 이 땅에 살았던 나와 그들(우리)의 조상에 의해 만들어졌고 유지되고 발전해갈 것입니다. 즉, 자신을 이루는 가치관들은 이러한 조상들에 의해 연속적으로 나에게 이어졌으며, 나라는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선 조상들의 과거,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길이라고 할 수 있죠. 역사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경험이며, 경험은 우리가 무엇을 했는지.. 2013. 7. 13.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 역사또한 바라보기 나름인지라 민족에 대한 강렬한 자긍심과 뜨거운 애국심을 가지고서 보면 민족주의에 빠져들기 쉽고, 반대로 민족에 대한 냉소와 국가에 대한 애정이 없는 시각이라면 국까로 빠져들기 쉽죠. 이러한 관점은 자칫하면 편향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데, 정치에선 편향적인게 문제가 되지 않듯이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편향된 시각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면 전 단언코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물론 역사학에서도 역사를 바라보는 프레임 자체는 여러가지가 있고 현 유럽에서의 대세는 탈민족이 대세라고 하지요. 이러한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 프레임은 당대의 정치상황과 국제사회의 조류가 개입되어 있기 마련입니다. 가령 20세기 초반 세계 열강에게 둘러쌓여 이리치이고 저리치이다 결국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 2013.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