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은 객관적 사실이며 진리에 더욱 가까운 지식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이를 믿어야할 이유는 이미 차고도 넘치며 이것은 의심과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없을 정도로 객관적 사실임을 인정받고 있죠. 진화론과 관계된 의심과 논쟁은 학문적인 견지에서 진화라라는 큰 틀에서의 논쟁에 불과합니다. 대표적으로 굴드와 도킨스의 논쟁 사례가 있죠. 그러나 그들은 진화라는 것에 대해서 부정하지는 않았습니다.
흔히 진화론에 대해 오해하고 있거나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것들이 꽤 있습니다. 이는 그들이 진화론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죠.
1.진화의 우열.
진화라는 것은 더 우월한 것으로 변하는 것이 아닙니다. 진화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환경에 대한 적응입니다. 다르게 말한다면 고등하다 생각되거나 복잡한 구조의 생물이 더 단순한 구조로 변하는 것도 진화이며, 어떠한 기관이 사라져 흔적만 남는 것도 진화입니다. 1
진화에 어떠한 목적론은 없습니다. 목적론이 있다면 해당 환경에 적응하는 것 그 자체이죠. 육체적인 능력이 뛰어난 것이 우월한 것도 아니며, 반대로 지능이 더 뛰어난 것도 우월한 것이 아닙니다. 애초에 그러한 신체적, 지능적 능력의 차이라는 것도 우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컴퓨터는 주어진 틀 내에서의 계산이 인간을 초월한 속도로 이루어집니다. 그렇다고 컴퓨터가 인간보다 우월한 것이 아니고, 어떤 맹금류는 물에 의해 왜곡되어 보이는 물고기의 상을 계산해서 정확한 각도로 입수하여 사냥합니다. 또 어떤 설치류는 자신이 먹이를 숨겨놓은 장소 수 백 곳을 거의 정확히 기억하지요. 인간이 이들만큼 할 수 있을까요? 훈련받은 사람은 그럴 수 있겠지만, 이들은 어떠한 훈련도 없이 그것을 가능케 합니다. 그렇다고 이들이 인간보다 우월하거나 인간이 이들보다 열등한 것이 아니죠.
이는 단순히 그들의 생존에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게 발달한 것입니다. 개가 인간보다 후각기능이 뛰어나다고 인간이 그보다 열등한 것이 아니며, 사자나 호랑이, 곰이 다른 동물보다 육체적인 능력이 뛰어나다고 더 우월한 것도 아닙니다. 심지어 멍게의 경우 유생일 때는 척수니 뇌니 하는 고등기관이 있었지만 성체가 되가면서 스스로 먹어치워 뇌조차 없고 간단한 소화기관만을 남긴 채로 퇴화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존이라는 측면에선 더 낫기 때문에 그렇게 진화가 된 것이죠.
요컨데, 진화에 우열은 없습니다.
2.인간의 원숭이의 자식.
주로 진화론에 호의적이지 않은 종교인이 이런 오해를 하고 있는 데, 이건 정말이지 진화론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 자체가 부족한 멍청한 소리에 불과합니다. 저는 적어도 무언가에 대해 제대로 비판하려면 그것에 대해 알만큼은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데 그들은 그러한 기본이 부족해요. 진화론에 대해 알지도, 알려고 하지도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대해 비판한다는 거죠. 딱히 어떤 종교라고 콕 찝어서 말하는 것은 아니다만 그들은 동성애에 대해서도 같은 수준의 대응을 보이고 있죠.
이게 멍청한 소리인 이유는 인간은 원숭이의 자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원숭이가 자식을 낳는다고 해서 사람이 태어나지도 않고 말이죠. 원숭이와 인간은 단지 공통조상을 공유하는 것 뿐입니다. 즉, 수백만년 전 인간과 원숭이는 같은 조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 조상종이 지리 등 어떠한 이유로 인해 다른 갈래로 진화했을 뿐입니다.
일부 집단은 원숭이가 됐고 일부 집단은 고릴라가, 일부 집단은 오랑우탄이나 보노보가 됐으며 또 일부 집단은 인간이 됐을 뿐입니다. 이는 인간과 원숭이가 서로 다른 종이며, 그들과는 같은 조상을 공유한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원숭이가 인간을 낳을 이유도 없고 인간이 원숭이를 부모로 볼 이유도 없습니다.
또한 진화라는 것이 겨우 한 두 세대만에 관찰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뭐, 구조가 간단하고 세대가 빠른 종이면 아주 작은 차이를 보일 수는 있겠지요. 이것이 실제 진화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 실증된 진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며 진화론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인간이나 원숭이 같은 복잡한 종은 여러 세대가 지나서야 아주 조금의 차이만이 보일 뿐입니다.
진화라는 것은 못해도 수 만년 ~ 수 십, 수 백만년 동안의 유전적 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도 아는 기본 중의 기본이죠.
3.무언가가 필요하다고 해서 그것이 생기는 게 아닙니다.
이 또한 진화의 목적론과 통하는 이야기인데, 진화라는 것은 무엇이 필요해서 그것이 생기는 쪽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아닙니다. 예컨데 우리에게 날개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날개가 돋아나는 쪽으로 진화하지 않고, 팔이 두개씩 더 필요하다고 해서 팔이 두개씩 더 돋아나지도 않고, 예비용 안구가 필요하다고 해서 예비용 안구가 생기는 쪽으로 변화하지도 않아요.
단지 유전적 변화, 돌연변이가 생기고 그것이 쌓여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진화라는 것이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것일 뿐입니다. 진화의 가장 기본적인 대전제가 뭡니까. 바로 환경에 대한 적응이고, 다르게 말하자면 적응하지 못한다면 도태되고 그러한 도태가 종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면 그게 바로 멸종이라고 하는 겁니다.
유전병도 일종의 돌연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컨데 합스부르크 가문의 주걱턱이 그것인 데, 이것은 본래 근친혼에 따른 부작용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근친혼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도 아니며, 이거 말고도 들 수 있는 여러 예시가 있습니다. 주걱턱은 부정교합을 주로 일으키며 이것이 심할 경우 씹는 것에 큰 불편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생존에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인 먹는 것을 제대로 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도태되기 쉽겠지요.
반대로 이탈리아의 어느 황새치잡이 어부나 몽골인과 같이 천선적으로 시력이 뛰어난 이들은 생존에 더 유리할 것입니다. 더 멀리서, 더 빨리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니까요. 이러한 차이가 오랜 기간에 거쳐 자연선택에 의해 걸러진다면? 어쩌다 생겨난 주걱턱을 가진 개체는 생존에 불리해서 빠르게 죽고 어쩌다 생겨난 시력이 좋은 개체는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손을 남길 기회를 얻겠지요.
이게 아주 오랜 기간 동안 반복되어 이루어지며, 나중에는 시력이 좋은 개체의 자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면 그 종족은 모두, 평균적으로 조상종에 비해 시력이 더 좋은 종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게 바로 진화라는 것이죠.
생존에 더 유리한 돌연변이가 살아남을 확률이 더 높고, 그러한 차이가 바로 진화의 핵심이라는 것. 더 좋은 시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 좋은 시력이 생긴게 아니라 어쩌다 더 좋은 시력을 가진 개체가 태어났고, 그것이 유전적인 레벨에서의 차이를 지녔기에 그것이 후대에 남을 수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가 다른 개체보다 더 나은 생존성을 지녔으며 따라서 그들이 자식을 남길 가능성 또한 더 높았다.
이러한 자연선택이 반복되고 그러한 돌연변이가 쌓이고 쌓여서 결국 시력이 좋은 종족이 탄생했다는 것입니다. 어쩌다 팔이 두개 씩 더 달린 개체가 생기고 이게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으며 그러한 개체가 더 많은 자식을 남기는 과정이 반복된다면 팔이 4개씩이나 달린 종족이 생길 수 있겠죠. 하지만 이는 팔이 두개 더 필요하다고 해서 생긴 결과가 아니라 단지 어쩌다 생겼는 데 이게 하필 생존에 더 좋았다는 우연에 의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는 환경의 변화에도 밀접한 연관을 지니기도 합니다. 빙하기가 오기 전엔 가죽이 두텁고 털이 긴 쪽이 생존에 불리했을 지 몰라도 빙하기가 혼 뒤에는 그러한 개체가 더 생존에 유리하게 변하기도 했죠.
- 퇴화. 흔히 퇴화를 진화의 반대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퇴화는 진화의 한 현상일 뿐입니다. 일례로 인간에게 꼬리가 없어진 것은 꼬리라는 기관의 퇴화로 인한 것이지만 그러한 변화는 진화라고 하죠. 나무에서 내려와 땅에서 생활하며, 직립보행을 한다는 변화에 맞게 적응을 한 결과가 꼬리가 퇴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고, 그것이 바로 진화입니다. [본문으로]
'취미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치에 대한 이해 1편. 무죄 추정의 원칙. (2) | 2015.08.09 |
---|---|
창조설자의 가장 큰 논리적 결함 (0) | 2015.08.01 |
더 이상 정부와 국정원에 신뢰할 수 없다. (0) | 2015.07.21 |
사이비들과 진짜 전문가 (2) | 2015.07.18 |
그들의 '이중성' 안보, 국방. (0) | 201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