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라2

체제 완결성과 다음 체제로의 이행. 어느 집단이 기능하며 그것이 유지된다는 것은 그것을 이루는 어떠한 체제가 있다는 것이다. 작은 동아리나 모임에도 규칙은 있고 그것으로 규정하지 않는 크고 작은 관습과 약속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어떠한 체제이든 그것은 결코 완전할 수 없고 필연적인 지속불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환경의 변화나 내부적인 규칙의 형해화, 권력의 독점화, 구성원간 상호 신뢰 붕괴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것이다. 같은 환경 내에서도 여러 집단이 존재할 경우 상호관계를 맺으며 유사해지거나 문화적 동질성을 가질 수는 있다. 그러나 완전히 같은 경우는 매우 드물고 이는 각 집단의 체제가 각기 다른 형태를 한다는 것이다. 한 체제가 태생적인 한계에 도달하고 그것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그 집단은 무너진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그.. 2022. 1. 30.
신라의 삼국통일과 자주성 비판. 많은 이들이 신라가 통일을 할 때 당나라와 연합을 하며 한반도 북부를 포기했다는 이유도 자주성이 떨어지며 같은 한민족을 배신한 행위라며 그 통일이 정당하지 않다까지의 의견이나 주장까지 나옵니다만, 답부터 말하자면 이러한 주장엔 논리적 근거가 없습니다. 먼저, 신라를 비판하는 근거가 되는 논리가 같은 한민족이라는 점과 당나라, 중국과의 연합, 그리고 한반도 북부 영토를 중국에 넘긴 것을 듭니다만 모두 한가지 사실에서 반박이 가능한 내용입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를 삼한이라 하여 같은 문화권이라는 인식은 있었고, 중국에서도 대충 같은 지역 내에 3개의 국가가 있으니 삼한이라고 부르곤 했습니다만 서로가 같은 민족이라 국가와 같은 개념으로 보진 않았기 때문이죠. 즉, 서로에게 서로는 그냥 다른 나라에 불과하다.. 2016.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