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10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유일한 정의는 자본을 축적하는 것이다. 축적한 자본을 소비하는 것은 투자할 때 뿐이다. 자본주의라는 사상과 가치가 추구하는 바가 그러하고, 그러한 원리에서 윤리와 도덕은 자본의 축적과 투자. 다시 말해,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으로 귀결된다. 즉, 자본주의에서 참여자가 해야 할 유일한 정의로운 행위는 자본을 불리는 것으로, 그것을 저해하는 모든 행위는 정의롭지 못한 것이거나, 최소한 우행으로 취급 받는 것이 마땅하다.그러나 국가라는 거대한 조직체는 여러 사상과 이념, 원리와 체제의 집합이고 자본주의는 핵심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일 뿐이지 그것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그러한 이유로 자본주의는 다른 이념과 원리에 의해 제어, 통제 되곤 한다. 자본의 축적만을 기본 원리로 삼고 그 외의 모든 것.. 2025. 1. 14.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보수 진영의 사교육 시장 정치 공격. (2) 이준석 "고소득 일타강사 왜 악마화" vs 이철규 "초과이익은 범죄, 왜 비호"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878668?sid=100 억대 시계 차고 수업… ‘공교육 수능 반발’ 일타강사들의 호화생활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70768?sid=102 '카르텔' 직격한 尹..후순위 '사교육'이 '교육개혁' 핵심으로 부상 https://v.daum.net/v/20230618142429596 대통령실, 교육부 대입국장 교체에 "이권카르텔 증거…예의주시"(종합) https://m.yna.co.kr/view/AKR20230616077451001?input=tw [단독] 시대인재·종로학원 등 대형 입시학원 전방위 세무조.. 2023. 6. 28.
자본주의의 한계에 대한 단상. 자본주의는 또 다른 한계점을 맞이하는가. https://cafe.daum.net/Europa/38b2/4516 처음 자본주의에 가장 심대한 위협을 줬던 사회주의, 공산주의가 등장했던 때와 유사한 상황에 치달아가는 게 아닌가 싶은데, 문제는 공산주의는 소련의 멸망과 함께 이미 실패한 체제가 되었고, 이에 대한 도전이나 견제가 가능한 대안, 혹은 경쟁적 이념은 등장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세계는 명실상부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이나 마찬가지가 되었고요. 즉, 자본주의는 현재 견제할만한 사상이 없습니다. 자본주의는 사회주의, 공산주의라는 경쟁자 때문에라도 살아남기 위해 사회주의적 요소들을 받아들였습니다. 그게 아니더라도 자유주의나 프로테스탄트적이지 않은 전통적 기독교 윤리, 인본주의, 애국심, 참정권과 함께 .. 2022. 12. 27.
공산주의는 왜 실패했는가. 서론.많은 사람들이 공산주의의 실패에 대해 사람의 욕심을 고려하지 않았다거나 지나치게 이상적이었다는 등의 피상적인 접근으로 분석하곤 한다. 이것은 관련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 대한 가장 대표적이고 쉬운 설명이 될 수는 있으나 진실과는 거리가 먼 이야기이다. 백년전 사람들이 바보도 아니고 욕심에 대한 이해가 없을 수도 없고, 지나치게 이상적인 체제라면 반세기 이상 유지될 수가 없다.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글에선 어째서 공산주의가 실패했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서술할 것이다.  자본주의의 시작과 예견된 한계.인간 노동은 기계로 대체되었다. 기존 수공예 숙련공들은 기계의 등장에 따라 노동의 시장가치가 줄어들었고, 저임금 노동자에 의해 완성되는 면직물들은 더 싸게, 더 많이 팔려나갔다. 지금은 일부 영역.. 2022.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