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정은14

한국전쟁 종전. 오늘 우리는 역사 속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대대적인 남침으로 인해 시작되었던 전쟁은 1953년 한국만 빠진 휴전협정을 통해 중단되었고, 65년이 지났습니다. 반세기 넘도록 수 많은 일이 있었고, 수 많은 사람이 태어났으며, 수 많은 이들이 죽었고, 슬픔과 고통, 번민과 괴로움, 행복과 즐거움, 사랑이 있었습니다. 누군가는 투쟁을 하며 살았고, 누군가는 깔아놓은 전철을 타고 살았으며, 때로는 좋은 일도, 때로는 힘든 일도 있으며 일상을 살아갔습니다. 남들과 같은 일상.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같은 일상을요. 하지만 이 모든 시간 동안 우리는 휴전의 상황에서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전쟁의 위협 아래에서 살아왔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모두에게, 전쟁 이후, 전후 세대에게 있어선 태어나서 지금까지 겪어야 했던 하나의 투.. 2018. 4. 27.
북한 신년사와 정부의 답변에 대한 외교적 단상 북한 김정은 신년사 “평창에 대표단 파견 용의…남북 당국 만날 수 있어”https://www.voakorea.com/a/4187167.html한국 정부 “김정은 ‘평창 대표단 참가’ 의사 환영”http://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winterolympic-01012018091607.html 이번 북한의 신년사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간단합니다. 몇달전 핵, 미사일 도발을 하며 긴장도와 위험도를 높혔던 북한이 이번엔 온건책을 동원하며 남한과의 관계 항샹을 야기하며 긴장되어 경직된 관계를 풀어줄 필요가 있다는 거죠. 이는 정확히, 미국에서 북한에 대한 강경 벌언과 조치가 취해지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미국의 벼랑 끝 전술과 자신들의 미국에 대한 입장에 .. 2018. 1. 2.
박근혜 정부의 최근 협상 및 대북외교 비판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무능을 넘어 무식의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천명한 꼴입니다. 현재까지의 사건을 단순화시켜봅시다. 목함지뢰 사건 발생 -> 아군 다리 절단 -> 대북방송 재개 -> 방송 중단 요구 -> 대남 포격 -> 북한과의 협상 돌입 이에 대한 결과를 보자면 다음과 같아요. 한국 : 지뢰로 인해 아군 장병이 장애인이 되었고, 우리는 포탄 수 십발을 소모한 데다 대북방송 중단. 북한 : 목함지뢰 몇 개, 포탄 한 발, 유감이라는 말 한마디. 사람이 수지타산을 따질 수 있다면 우리가 엄청난 손해를 봤다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이명박 정부 때를 다시 한번 상기해봅시다. 남북관계 경색되니까 박왕자 사건 터뜨리고, 그 사건 때문에 아예 대화채널이 닫히니까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을 일으켰죠.. 2015. 8. 26.
북한의 도발, 우리 군의 대응은 정확했는가. 본 게시물은 다음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카페의 이슈게시판 게시물의 댓글을 퍼온 것으로, 아래의 내용은 본인이 작성한 것이 아닙니다. 출처 게시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애기아빠 회원님의 댓글입니다. 북한 "남한 발사 포탄 36발, 아군 부대·초소 부근 떨어져"(속보)http://cafe.daum.net/Europa/3Q5x/45404 하히해 15.08.21. 01:25 뭐, 기사들 살펴보니 서로서로 사이좋게 공갈포 갈긴거 드만요;;; 애초에 상대방 초소나 피해가 날 수 있는 쪽은 서로 조준하지 않고 없는 쪽으로 뽱뽱;;; 왠일로 빠방하게 반격까지하고 하나 했드니 ㅋㅋㅋㅋㅋㅋ┗ TheTankMaster 15.08.21. 01:29 그냥 공갈포군요 ㅋㅋㅋ연평도때도 엄한 곳 쏜 한국군이 ㅎㅎ┗ 하히해.. 2015.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