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rodinger

블로그 이미지
내용 없는 사고는 공허하며,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 - E.Kant
by Konn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명제'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8.08.27
    논리의 객관성에 대한 판단.
  2. 2018.03.23
    남들보다 더 논리적이라는 무엇인가?
반응형


1.인간은 죽는다.

2.나는 인간이다.

3.나는 죽는다.


논리적 구성의 대표적인 예시인 삼단논법입니다. 우리가 어떠한 판단을 할 때 논리적 사고는 매우 중요하고, 그러한 올바른 사고가 올바른 결론을 내놓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논리라는 것은 어떻게 시작되고, 구성되어, 사용할 수 있는 걸까요?


어떠한 명제가 있다고 칩시다. 저 위에 있는 인간은 죽는다. 라는 명제가 있다고 쳐보죠. 이 한 문장을 더 작은 단위로 나눈다면 인간/은/ /죽는/다/./ 정도로 나눌 수 있을 겁니다. 인간, 은, 띄어쓰기, 죽는, 다, 마침표. 더 세부적으로 정의하자면 나눌 수 있겠지만, 간단히 설명하려는 것이니 이렇게 봅시다.


인간은 죽는다. 라는 명제를 따지기 위해 필요한 것은 위에서 세부적으로 나눈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입니다. 즉, 용어정의죠. 문제는, 우리가 이것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선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합니다. 하지만 앞서 나눈 개념들은 모두 언어로서 정의해야 하고, 정의된 것들이죠. 즉, 기호나 상징으로서의 의미를 지녔다기 보단, 그 이상의 고차원적인 개념으로서 기능하는 것들이니다.


말했듯, 객관성은 편견에서 자유롭고, 오롯이 존재하는 지식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말, 언어는 너무나도 많은 의미를 담고 있고, 그 개념의 폭은 너무 넓습니다. 한 문장, 한 단어도 여러 갈래로 해석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고, 이는 각기 다른 판단과 개념, 사유를 낳게 됩니다. 따라서 어떠한 언어적 문장도 객관적일 수 없습니다. 다만 더 정확히 쓸 때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정확하게 비슷하거나 같은 범주의 사고로 유도되고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언어는 기능할 수 있는 것이죠. 



그렇다면 언어보다 더 정확하고, 더 낮은 단위로 나눌 수 있는 논리적 구성은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숫자가 있습니다. 논리학은 논리를 다루지만, 그 중에서도 수리 논리는 더 구체적이고 개념적인 기호를 사용하며 인간적 편견에서 더더욱 멀어질 수 있었죠. 마찬가지로 수학 또한 객관적 지식 그 자체에 가까운 지식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실제 논리학, 수학 등이 어떤지는 더 잘 알 사람들이 많겠지만, 요는 한글, 한국어, 영어 등의 언어로서 서술될 수 있는 문장은 인간적 한계와 편견을 담고 있고, 그에 따라 근본적 오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면 숫자를 이용하는 논리체계는 그러한 오해가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죠.


하지만 역시 숫자, 혹은 기호라는 가공된 개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컴퓨터 공학 쪽으로 가본다면(비단 컴공만은 아니지만, 대표적이라서.) 온갖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가공된 언어들은 사실 비효율적이라고 하죠. 컴퓨터의 기초적인, 가장 낮은 단위의 논리적 구성은 0과 1의 2진법입니다. 사실 이는 컴퓨터 공학만이 아니고, 고전역학에서 설명하는 우주 전체가 0과 1로 해체될 수 있겠습니다. 


이 0과 1은 있음과 없음으로 정의되고, 존재로서 가장 낮은 단위의 논리적 구성입니다. 약간 곁다리로 나가자면, 그 있음과 없음은 받아들이는 개념이기 때문에 논리적 체계에서 가장 낮아질 수 있는 구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재밌게도, 사실 우리가 보고 받아들이는 세계 자체는 단지 있음 하나 뿐으로 정리됩니다. 우리 주변에 없다. 라고 여길 수 있는 곳에는 사실 있음으로 가득차 있죠. 공기, 빛 등등.


그건 범위를 확장해서 지구나 태양계, 우주 전체로 넓혀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숫자로 이 세상을 바라본다면 온 세상이 1로 가득차 보일 것이고, 우주 밖에서 이 우주룰 쳐다본다면 그저 커다란 하나의 1로 보일지도 모르겠죠. 따라서 없음이라는 것은 개념적으로만 존재하고, 실존하는 게 아닐 수 있습니다. 이 우주에 보이드라는 공간이 있어서 아무 것도 없다곤 하지만, 빛이 지나기 때문에 광자는 있을 것이고, 그게 아니더라도 공간이라는 물리적 실체는 존재하고, 시간이라는 개념 또한 존재합니다. 단지 빈 공간일 뿐이지, 아무 것도 없는 게 아닙니다. 따라서 있습니다.


이 우주 내는 있음(1)로 가득하고 이 우주 밖으로 시야를 돌린다고 해도 단지 알 수 없을 뿐이지 실은 1로 구성되어 있을 지도 모르는 일이죠. 그렇게 된다면 정말로 없음(0)은 존재하지 않고, 그렇기 때문에 개념적으로만 존재하는 사유일 것이며, 우주 밖이 정말 아무 것도 없다면 그제서야 0과 1은 실존하여 존재하는 게 될 겁니다. 우주가 끝없이 팽창하는 이유가 사실은 그 없음을 채우기 위해서일지도 모를 일이죠.



뭐.. 아무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논리라는 것은 그러한 언어, 단위, 기호, 개념, 사유의 구성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 구성이라는 게 어디까지나 지적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편견이라는 것이죠.


가령 모래사장에 랜덤하게 배치된 돌멩이들이 있다고 칩시다. 우리가 위에서 보면서 돌멩이들을 둘러보니, 어느 한 구석에서 1열로 10개의 돌멩이가 뉘여져 있는 것을 봅니다. 우리는 그것에서 패턴을 찾게 되고, 그것을 보고 앞서처럼 1열로 10개의 돌멩이가 있다는 것으로 구성하여 논리적 패턴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반대로 아무렇게나 떨어져 있는 돌멩이들을 모아 중앙의 돌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돌을 놓거나, 아예 더 간단하게 두 돌멩이를 서로 양 옆에 두었다고 칩시다. 우리는 이것에서 어떠한 패턴이나 기호를 발견할 수 있지만, 사실 그런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우연찮게 돌멩이들이 10개가 1열로 뉘여져 있는 것이고, 다시 말해 그냥 돌멩이, 돌멩이, 돌멩이 ... 돌멩이, 돌멩이, 돌멩이. 가 있는 것 뿐입니다. 마찬가지로 돌 두개를 주워서 나란히 둔다고 해서 어떠한 논리적 구성이 생기는 게 아닙니다. 단지 돌멩이 하나가 있고, 다른 돌멩이 하나가 있을 뿐이죠.


여기엔 어떠한 논리적 구성이 없고, 어떠한 상징도, 의미도 없습니다. 단지 돌멩이라는 객체 하나가 있고, 다른 돌멩이라는 객체 하나가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모양을 보고 어떠한 패턴을 발생시키고 기호화할 수도 있죠. 바로 이게 인간적 편견이라는 거고, 논리적 구성이 인간적 편견에 오염된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단위와 개념, 가장 낮은 단위의 논리라 하여도 객관적일 수 없습니다. 이는 다르게 말해서, 객관성은 허상이고, 그런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논리와 객관성은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의문은 다음의 두가지입니다.


1.객관성이라는 것은 인간의 편견에 의해 근본적으로 오류를 내포하고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인가.

2.객관적인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후자라면, 우리는 어떤 것이 됐든 아무 것도 알 수 없을 것입니다. 단지 안다고 착각하고 오해하고 있을 뿐이죠. 그저 쓸만한 구성 내에서 논리적이거나, 합리적이라고, 객관적이라고 여기며 그 작은 틀 내에서 무한히 틀리고 있을 뿐일 겁니다. 이 세계에 필연적인 것은 단 하나도 없고, 모든 것은 우연이며, 객체로서 존재할 뿐 모든 것이 다 허상이 된다는 겁니다.


우리가 사는 이 문명과 지식이 그러한 논리적 구성 위에 세워졌지만, 그것은 일정 이하의 작은 틀 내에서일 뿐이고, 실제로는 아무런 가치도 없는 것일 수 있죠. 돌 10개가 1열로 늘어선 것처럼. 그게 어떠한 패턴이나 기호, 상징으로 여겨질 수 있고, 똑같은 방식으로 더 많은 열과 더 긴 줄을 만들 수 있지만, 실제로는 단지 돌 하나가 있고 돌 하나가 있으며 돌 하나가 있는 것에 불과한 것지도 모를 일이죠.



반면 전자일 땐, 모든 지식과 그 지식의 가장 기본 단위가 될 수 있는 논리적 구성이 오류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절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없고 그것을 담보하거나 증명해낼 수 없습니다. 단지 우리가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것에 한 없이 가까워질 수 있을 뿐이죠.


그러한 절대적 객관성을 우리는 진리라 부를 것이고, 우리의 문명, 도구, 삶의 방식 모두가 제각기 의미를 지닐 것입니다. 추구할 수 있고 발전할 수 있으며, 단지 한계가 있어 완벽해질 수만은 없을 뿐입니다. 

반응형
AND
반응형


논리 [論理] 국어

생각이나 추론이 지녀야 하는 원리나 법칙


논리적이다. 합리적이다. 쉽게 말해서, 똑똑하다. 라는 것은 같은 것을 보아도 남들보다 더 정확하게, 더 많이 보고 설명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겁니다.


생각외로 사람들은 논리적이지도 않고 합리적이지도 않습니다. 인간의 논리력과 합리성은 DNA에 각인된 본능적 능력이 아니라 교육과 훈련을 통해 얻어낸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교육과 훈련의 수준과 성취에 따라 그 능력의 수준은 천차만별이죠.


그만큼 같은 것을 보고도 그것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설명해낼 수 있는 건 그만큼 논리력과 합리성이 훈련 받은 사람이라는 것이죠.



논리라는 것은 위의 사전적 정의처럼, 그것의 원리와 법칙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단순한 정의일 뿐이고, 그러한 기술이나 방법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죠. 따라서 논리라는 것도 그 수준에 따라 허술한 논리와 견고하고 탄탄한 논리가 있을 수 있는 거고, 당연히 후자의 논리가 더 합리적인 결론을 내놓을 수 있게 됩니다. 학계와 같은 영역에서 후자의 싸움이 치열해지죠.


이러한 논리는 같은 문장을 보고도 더 명확한 명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더 논리적일 수록, 더 똑똑할 수록 기본 단위의 논리로 분해가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명제 나누기, 논리적 분해는 결국 수리 논리와 같은 분야로 다다르게 되죠.


하여간 이를 다르게 말하자면, 같은 문장 속의 상이한 두개의 명제가 하나의 명제인 것처럼 둔갑하여 잘못된 주장이나 결론으로 호도하는 것을 파악하고 그것을 비판, 논박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굉장히 중요한 것으로, 일상에서야 별 상관 없겠지만 토론과 논쟁의 상황에서 첨예한 논리를 가진 쪽이 이길 수 있고, 여기서 이겼다는 것은 그의 주장이 더 합리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올바른 논리가 합리적 결과를 내놓지 못할 수가 없죠. 이 합리성이 선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건 아닙니다만.



이 블로그에서도 수 차례 언급한 적 있지만, 멍청할 수록 피상적인 것 밖에 보지 못하고, 더 뛰어난 지성을 가진 사람일 수록 그 근본적인 원인과 원리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비판하는 능력이 개인의 두뇌활동으로 어느 정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듯, 할 수 있는 기본 단위의 논리로 명제를 분할하며 그것의 타당성을 따지며 옳고 그름을 가려낼 수 있으니까요.


또한 이러한 지성은 그러한 것을 감각적으로 느끼기만 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그것을 언어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도 합니다. 지성이 뛰어나지 못한 이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지 못한 이들은 부당함을 느끼지만 그것의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마찬가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당함을 느끼고 그것이 불만과 분노를 느끼지만 그것을 풀 대상을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죠. 그러한 상황에 놓인 개인, 더 나아가 그들이 모인 대중은 쉽게 극단주의에 빠지기 쉽죠. 정치에선 나치, 일본 극우, 미국 네오콘, 사회나 인터넷에선 메갈, 일베, 그냥 흔해 빠진 멍청이나 초딩, 중2병 환자 등등..



뭐 하여간, 더 논리적이라는 것은 더 합리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되면서, 독립적 지성체로 기능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 됩니다. 완벽히 독립적일 순 없고 사실상 달성 불가능한 지점이지만, 능력에 따라 최대한 그럴 수 있게 되겠죠. 미국의 저소득층, 저학력층에게 철학을 가르쳤더니 자신의 분노와 불만이 어째서 발생하는지 이해하고, 그것을 언어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되면서 그러한 내적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는 그러한 지성이 자신을 통제하는 수단이 됨을 의미합니다. 스마트폰이라는 단말기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면 그것을 통해 정보와 통신을 제대로 받아들이고 연결될 수 없고, 이를 보고 우리는 고장났다고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이라는 단말기가 자신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휘둘리고 부당한 영향에 올바른 반응을 발생시키지 못한다면 그것 또한 제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반응형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849)
취미 (849)
백업 (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