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rodinger

블로그 이미지
내용 없는 사고는 공허하며,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 - E.Kant
by Konn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바둑'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3.14
    맑스의 공산주의와 인공지능. 1
반응형


공산주의의 창시자 맑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공산주의란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한 이후에 넘어가는 단계로 설명을 합니다. 후대의 혁명가들(레닌, 트로츠키 등)은 그러한 발전 없이도 공산혁명이 가능하다고 봤고, 실제로 혁명에 성공하긴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그러한 성공은 완전하지 못했고 또 약 1세기가 못되는 시간만에 혁명은 실패를 증명했죠.


기실 현실의 공산주의 국가들은 맑스의 예지와는 정반대의 경우에서 발생한 경우가 많은데, 베트남, 북한, 쿠바는 물론, 그 소련마저도 사실은 경제력이 그렇게 뛰어났던 국가는 아니었지요. 소련의 경우 뛰어난 인력풀에 의한 국가운영과 중공업에 대한 투자에 따른 경제성장을 경험했지만, 대다수의 다른 공산국가들은 그러한 경험을 거의 하지 못한 채 소련의 지원에 의존했었고, 혁명 이전이나 이후에나 경제적으로 궁핍한 후진국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중요한 건 맑스의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이후의 단계로서의 공산주의' 부분인데, 이러한 결론이 나온 이유는 당대의 사회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자동화 기계를 통한 생산력의 폭발적인 증대인데, 임금을 받지 않으며 쉬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기계는 단순 유지보수만 해주면 아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더 성능이 좋은 기계를 늘리고 노동자를 필요한 만큼만, 최소한으로 고용한다면 자본가는 적은 비용지출로 더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 러다이트 운동인데, 기계가 자신의 일자리를 대체함에 따라 실직한 노동자들이 기계를 파괴하는 등의 운동을 일으킨 것이죠.


하지만 그런다고 뒤돌아갈 시대가 아닙니다. 현재 자동화는 더욱 발전하였습니다. 다르게 말하자면, 노동자의 필요성은 점점 줄어들고, 더 많고 복잡한 일을 기계-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있게 되어가고 있다는 말입니다.



현재의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전은 상당한 수준인데, 인공지능이 스스로 뉴스 기사를 작성하거나, 심지어 소설까지 작성하며, 실제로 금융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힘을 빌리고 있기도 합니다. 또 이번 이세돌과의 바둑에서 대국한 알파고처럼 인간의 직관과 통찰력을 뛰어넘는 판단력을 보여주기도 하죠. 물론 이러한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은 특정 분야에 한정되었지만, 앞으로 더더욱 발전할 것은 자명한 사실이죠.


단지 인공지능 뿐만 아니라 기계적 성능도 충분히 발전해가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더 많은 일을 인공지능과 기계로 대체되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껏처럼 더 많은, 다른 직업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만, 솔직히 그럴 가능성은 적다고 봅니다. 이전 시대까지의 기계는 어디까지나 기계적으로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인간의 영역인 유연하고 자유로운 판단력과 직관, 통찰 및 더더욱 세밀하고 불특정한 조작에 있어서 쓸모가 없었습니다. 그러한 동작이 불가능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점점 인공지능은 발달해가고, 기계적 성능은 더더욱 높아져가는 상황에서 이전까진 불가능했던 영역들이 점차 정복되어가고 있죠. 따라서 그만큼 인간이 산업과 경제의 부분에서 필요가 없어지고 기계와 인공지능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이를 좀 더 극단적으로 끌어올린다면, 언젠간 인간이 필요한 분야가 모두 없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죠. 스스로 판단하고 평가하고 유지보수, 심지어 설계와 보완 및 발전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도 없죠. 마치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최후의 질문》에 나온 '멀티백'처럼요.



따라서 인간의 직장 대부분은 기계와 인공지능에게 대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은 크게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봐도 됩니다. 차량 운전부터 물자 운송, 금융과 소설 등의 예술분야까지.


그렇다면 인류 대부분은 돈을 벌지 못하고 소수의 자본가만이 영원한 부를 축적하게 될까요? 뭐, 어쩌면 그럴 수도 있죠. 하지만 그건 너무 아포칼립스적인(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진짜로!) 전망이고, 실제로는 좀 다르게 흘러갈 겁니다. 하지만 기계와 인공지능에 발달에 따른 과정에서 그러한 상황은 분명하게 일어날 겁니다.


특히 한국과 같이 '부의 분배'에 있어서 정신병적, 알레르기적 반응을 보이는 국가에선 더더욱 오랫동안 고생해갈 거라고 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보다 더 현명하고 합리적인 국가가 먼저 사회주의적 부의 분배를 선택하겠죠.


왜냐하면, 생산을 포함한 인간의 영역을 기계로 대체해갈 수록 인건비는 떨어지고, 단순히 기계와 인공지능의 유지보수 비용만 나가면 되기 때문에 그만큼 지출은 적어지면서, 상품의 판매 등으로 수입을 늘어납니다. 이전의 산업혁명, 러다이트 때와 마찬가지죠. 그럼 그 동안 실업자가 된 사람들에겐 어떠한 부의 분배나 사회적 안전망이 두텁지 못하기 때문에 수 십년 동안은 그러한 실업자들은 고생할 수 밖에 없어요.


또한 그들에게 부의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자본가들의 부의 축적 또한 불가능하고, 장기간의 성장도 불가능합니다. 직장을 잃어서 고정적이고 장기적인 수입이 없고, 수입이 없으니 돈이 없기 때문에 기업들의 상품을 구매하지 못하고, 그럼 기업 또한 성장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멍청한 피드백의 고리를 끊기 위해선 더 편리하게 더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게된 기업들에게서 세금의 형태로 부를 걷어, 실업자들에게 분배하면서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사회주의적'인 경제체제가 성립되어야 하죠.



그렇게 극도로 발달한 상태에선 결국 무제한적인 생산과 그에 따른 무제한적 부의 축적, 그 부에 대한 국가의 무지막지한 세금, 대다수 국민에 대한 부의 분배, 다시금 무제한적 생산품에 대한 무제한적 구매가 이루어지면서 결국 '공산주의'가 도래하게 될 겁니다.


쉽게 말해서, 생산이 극도로 초과공급되는 상태에선 모두가 원하는 것을 언제 어디서나 어떻게든 구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부에 따른 계급은 무의미해지며, 따라서 자본가도, 기업가도, 노동자도 필요 없어지는 상황이 오기에 사유재산은 특별한 의미나 가치를 지닐 필요가 없어지며 생산수단은 걍 국가에 맡겨버리면 되는 편리한 시대가 오게 된다는 의미죠.


즉,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산주의'의 도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발전인데, 이 발전은 공학이나 인공지능의 발전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사회체제나 정치제도에 대한 발전 또한 포함하는 것입니다. 생산력은 발전하는 데 부의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도 없기 때문이죠.



이렇게 본다면, 산업혁명이라는 '처음'의 시점에서 기계문명 발전의 끝을 통찰하고 결과적으로 어떠한 체제, 상태가 도래할 것인지를 꿰뚫어본 맑스는 정말 철학의 대가라는 말이 아깝지 않은 인류의 대단한 지성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공산주의나 사회주의가 빨갱이네 뭐네 할 것도 없이, 그러한 상태는 결국 오게 될 겁니다. 그걸 거부하는 건 시대를 거부하는 것이고 다른 국가들보다 더 늦어질 뿐이라고 봅니다.


반응형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849)
취미 (849)
백업 (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